JavaScript 17

[자바스크립트] #3 공부 기록 - 심볼형

//자바스크립트는 객체 프로퍼티 키로 오직 문자형과 심볼형만 허용 //1. 심볼 let id = Symbol(); //Symbol()을 사용해 심볼값을 만듦. //id는 새로운 심볼이 됨. let id = Symbol("id"); //심볼 id에는 id라는 설명이 붙음. //설명이 동일한 심볼을 만들어도 심볼값은 다름 let id1 = Symbol("id"); let id2 =Symbol("id"); alert(id1==id2);//false let id = Symbol("id"); alert(id.toString());//Symbol(id) let id=Symbol("id"); alert(id.description);//id //2. 숨김 프로퍼티 //심볼을 이용해 '숨김(hidden)'프로퍼티를 만들..

JavaScript 2022.08.16

[자바스크립트] #2 공부 기록 - 메서드와 this

//객체의 프로퍼티에 함수를 할당해 객체에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 부여 //1. 메서드 만들기 let user = { name: "John", age: 30 }; user.sayHi=function(){ alert("안녕하세용ㅅ"); }; //객체 프로퍼티 user.sayHi 에 함수 할당 //메서드: 객체 프로퍼티에 할당된 함수 //sayHi-메서드 user.sayHi(); //이미 정의된 함수로 메서드 만들기 let user = { name: "John", age: 30 }; function sayHi(){ alert("안녕"); }; //선언된 함수를 메서드로 등록 user.sayHi = sayHi; user.sayHi(); //객체를 사용하여 개체를 표현하는 방식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//관련 ..

JavaScript 2022.08.15

[자바스크립트] #1 공부 기록 - 객체

//1. 리터럴과 프로퍼티 let user = new Object(); //객체 생성자 문법 let user = {}; //객체 리터럴 문법: 중괄호를 이용해 객체를 선언하는 것 let user ={//중괄호 안에는 키:값 쌍으로 구성된 프로퍼티가 들어감 name: "John",//키(이름,식별자),값 age: 30, "like birds": true, //복수 단어는 따옴표로 }; //프로퍼티 값 얻기 alert(user.name);//John alert(user.age);//30 //프로퍼티 값에는 모든 자료형 가능 //프로퍼티 추가 user.inAdmin=true; //프로퍼티 삭제 delete user.age; //상수 객체 수정 const user = { name: "John" }; //cons..

JavaScript 2022.08.09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배열 내장 함수 (unshift, concat, join)

1. unshift( ) : 배열 맨 앞에 새 원소 추가 (shift) const numbers = [10,20,30,40]; numbers.unshift(5); console.log(numbers); > numbers 배열 생성함. > unshift 함수로 numbers 맨 앞에 5 추가함. > 콘솔에 numbers 출력함. > 맨 앞에 5가 추가되어 인덱스 길이가 늘어남. 2. concat( ) : 여러 개의 배열을 하나의 배열로 합침. const arr1=[1,2,3]; const arr2=[4,5,6]; const concated = arr1.concat(arr2); console.log(concated); > arr1 배열을 생성함. > arr2 배열을 생성함. > concat 함수로 arr1과..

JavaScript 2021.03.11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배열 내장 함수( splice, slice, shift, pop)

1. splice( ) : 배열에서 특정 항목 제거 - 첫번째 파라미터는 어떤 인덱스부터 지울지를 의미하고 두번째 파라미터는 그 인덱스부터 몇개를 지울지 const numbers =[10,20,30,40]; const index = numbers.indexOf(30); numbers.splice(index,1);//index번째 배열부터 1개 제거 console.log(numbers); > numbers 배열을 선언함. > indexOf 함수로 30이 몇 번째 원소인지 index에 저장함. > splice 함수로 index번째부터 1개를 제거함. > 콘솔에 numbers를 출력함. > 배열에서 30을 제거함. 2. slice( ) : 배열을 잘라냄, 기존의 배열은 건드리지 않음 - 첫번째 파라미터는 어디..

JavaScript 2021.03.10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배열 내장 함수 ( findIndex, find, filter )

1. findIndex( ) : 배열 안에 있는 값이 객체일 때 몇 번째 원소인지 찾아주는 함수 const todos=[ { id:1, text:'html+css', done:true }, { id:2, text:'javascript', done:true }, { id:3, text:'react', done:true }, { id:4, text:'jquery', done:false } ]; const index = todos.findIndex(todo => todo.id ===3); console.log(index); > todos 객체 배열을 생성함. > findIndex 파라미터로 todo를 받고 id가 3인 몇번째 요소인지 찾아 index에 저장함. > 콘솔에 index를 출력함. > 배열에서 id..

JavaScript 2021.03.09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배열 내장 함수 (forEach, map, indexOf)

1. forEach( ) : for문 대체 const web =['html','css','javascript','jquery']; web.forEach(element =>{ //파라미터 element는 각 원소를 가리킴 console.log(element); }); > web 이라는 배열을 생성 > forEach( )함수의 파라미터로 element를 받음. element가 각 원소를 가리킴. > 콘솔에 배열의 각 원소를 출력함. +) 함수 형태의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것 - 콜백 함수 2. map( ) : 배열 안의 각 원소를 변환할 때 사용함. 새로운 배열 생성 - 배열 안의 모든 숫자를 제곱해서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예제 const array=[1,2,3,4,5,6,7,8]; const square =..

JavaScript 2021.03.08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객체 배열 (선언, push(), length 속성)

▶ 객체 배열 : 배열[ ] 안에 객체 { } 를 선언함. - 객체 배열 선언 const objects = [{name: '강아지'}, {name: '고양이'}]; > objects 라는 배열 안에 객체가 선언됨. - 객체 배열 출력 console.log(objects); console.log(objects[0]); console.log(objects[1]); > objects 객체 배열을 콘솔에 출력 > objects 배열에서 0번째 값을 콘솔에 출력 > objects 배열에서 1번째 값을 콘솔에 출력 - 배열에 새 항목 추가 push() 메소드 : 하나 이상의 요소를 배열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 objects.push( {name: '물고기'} ); > 배열의 마지막에 push 메소드를 이용해 {nam..

JavaScript 2021.03.07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getter , setter 메소드

- getter(획득자) , setter (설정자) : 접근자 프로퍼티 1. getter 메소드 : 프로퍼티를 읽을 때 동작 const numbers={ a:1, b:2, get sum(){ console.log('sum 함수가 실행됩니다'); return this.a + this.b; } }; console.log(numbers.sum); numbers.b=5; console.log(numbers.sum); >>근데 number.b=5 에서 값이 변경될때 setter메소드가 없는데 어케 변경됐찌? 2. setter 메소드 :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할 때 호출 const numbers={ _a:1, _b:2, sum:3, calculate(){ console.log('calculate'); this.sum..

JavaScript 2021.03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