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React로 만든 Counter 소스 뜯어보기 -Counter.js >
1. state
: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상태값
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.
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작성할 때는 클래스 내부 맨 위에 작성
변경된 데이터를 관리한다.
(코드설명)
> Counter 클래스를 컴포넌트화 시킨다.
> Counter 클래스의 현재 상태값은 number:0
2. 애로우 함수 (Arrow Function)
: function 키워드 대신 " => " 를 사용하여 함수를 선언
예시)
( 파라미터 ) => { return 내용 }
3. this 키워드
: 일반적으로 부모를 가리킨다.
4. setState()함수
: state값을 바꿀때 쓴다
state값을 직접 바꾸면 인식하지 못해서 다시 렌더링 하지 않음 (react lifecycle을 보면)
> handleIncrease 함수를 선언
> setState로 함수의 상태값을 변화시킨다? (this가 가리키는 게 머지?)
> number 은 상태값 + 1
> handleDecrease 함수를 선언
> setState로 함수의 상태값을 변화시킨다? (this가 가리키는 게 머지?)
> number 은 상태값 - 1
> 렌더링
>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킬 버튼이 포함된 카운터 만든다.
(리액트 라이프 사이클 공부 필요)
-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. 아시는 분 댓글로 알려주세요!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리액트 라이프사이클 (React LifeCycle) 쉽게 이해하기 (0) | 2021.03.05 |
---|---|
[React] React로 만든 Counter 소스 뜯어보기 - App.js (0) | 2021.03.03 |